티스토리 뷰
목차
서울시는 교통약자를 위한 통합교통 서비스 앱 '서울동행맵'을 17일부터 시범 운영한다고 발표했다.
서울동행맵의 주요 특징 및 기능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노약자, 임산부, 휠체어 이용자 등을 위해 단차, 경사, 보도폭 등을 반영한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한다.
위치 기반 저상버스 예약: 이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 저상버스 예약 서비스를 도입하여 휠체어 이용이 편리하게 할 계획이다.
지하철역 시설물 정보 제공: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위치, 환승 정보 등을 포함한 지하철 정보를 제공하여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를 높인다.
보행 불편 제보 기능: 앱 내에서 보행 불편을 직접 제보하고, 이를 통해 개선 정보를 전달하고 관리 부서에도 정보를 제공한다.
서울시의 교통약자 이동 편의 증진 계획 서울시는 2024년까지 지하철 전 역사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예정이며,
2025년까지는 저상버스를 100% 도입하고, 장애인 콜택시의 대수를 법정대수의 150%로 확보할 계획이다.
윤종장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서울동행맵이 교통약자를 비롯한 모든 시민들의 일상 생활에 편의를 더하는 생활 밀착형 서비스로 자리잡길 바란다"며, 교통약자의 대중교통 이용 편의를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서울시의 '서울동행맵' 앱은 교통약자들의 이동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좋은 서비스로 보인다.
특히, 저상버스 예약시스템과 지하철역의 시설물 정보 제공 등은 교통약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1. 저상버스 예약시스템:
이 기능은 교통약자들이 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미리 예약하고, 정류소에 도착할 때까지 버스기사가 준비를 해두는 시스템은 안전하고 편리한 이동을 도와줄 것이다.
2. 지하철역 시설물 정보 제공:
특히 지하철에서는 다양한 시설물 정보를 제공하여 교통약자들이 지하철을 더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런 정보는 일반 시민뿐만 아니라 교통약자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는 교통약자들뿐만 아니라 모든 시민들의 일상생활에 편의를 가져다 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이런 편의성은 도시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이용자층을 포함하는 더 포용적인 도시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다.
서울시의 '서울동행맵' 앱은 교통약자들의 이동을 돕는 혁신적인 서비스로, 특히 저상버스 예약 시스템과 지하철역의 시설 정보 제공 기능은 교통약자들에게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시스템의 이용 방법은 앱 내에서 버스 정보를 검색하고 원하는 노선 및 승하차 정류소를 예약한 후, 해당 정류소에 도착하면 자동으로 예약 정보가 버스에 전달된다. 이를 통해 버스 기사는 사전에 이용자의 예약을 인지하고 휠체어 리프트 등의 준비를 하며, 안내방송을 통해 승객에게도 교통약자의 탑승을 사전에 알린다.
이렇게 운영되는 저상버스 예약시스템은 교통약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버스 내에서는 교통약자 탑승과 관련한 사전 안내방송(음성, LED)도 실시되어, 승객들이 사전에 교통약자의 탑승을 인지하고 자리를 마련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저상버스 예약 시스템은 교통약자들이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지하철 시설 정보 제공 기능은 교통약자들이 안전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서울시의 이러한 노력은 교통약자들의 이동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도시의 모든 시민들에게도 편리함을 제공하는 좋은 방법이라 생각한다.
이런 서비스가 더 많은 도시에서도 도입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https://im.newspic.kr/t3N1f05
교통약자 맞춤 교통정보 서비스 '서울동행맵' 17일 첫선
맞춤형 길 안내·위치 기반 저상버스 예약·역무원 콜버튼 등 기능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서울시는 장애인, 임산부 등 교통약자의 대중교통 이용을 돕는 맞춤형 통합교통서비스
im.newspic.kr
'육아팁과 노하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1인 자영업자·프리랜서 출산급여 지원, 신청방법 안내 (240만원 지원금) (73) | 2024.04.23 |
---|---|
서울시, '서울행복여행' 1,500명 모집 시작, 신청자격과 신청기간 (41) | 2024.04.22 |
서울시 '어린이 눈건강 지킴이' 사업 2차 신청 개시! 어린이 안경 구입 비용 지원(4월18일부터 24일까지) (59) | 2024.04.18 |
한국과 일본, 출산 및 육아 지원 정책 비교 (87) | 2024.04.16 |
서울시, 양육자의 외출 지원 강화: '서울엄마아빠택시' 전 자치구 확대 (84) | 2024.04.15 |